스닥
Playground
스닥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25)
    • 개발자 기본기 (1)
    • Swift 아키텍처 (6)
    • iOS 개발 (55)
      • Swift (12)
      • UIKit (17)
      • SwiftUI (9)
      • CoreData (9)
      • MusicKit (4)
      • WebKit (2)
      • 개발 환경 (0)
      • WatchOS (2)
    • 애플 개발자 아카데미 (4)
    • 막 쓰는 개발일지 (0)
    • 운영체제 (4)
    • 네트워크, 서버 (16)
      • Network (9)
      • Server (7)
    • 알고리즘 (8)
    • C언어 (7)
      • 함수 (7)
    • 하루 이야기 (23)

블로그 메뉴

  • GitHub계정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Server
  • core data
  • swift performance
  • 도커
  • ip주소
  • dfs
  • 깊이 우선
  • Core Animation
  • 문자열 복사
  • 트리
  • 서버
  • 알고리즘
  • struct class 성능
  • 너비 우선
  • docker
  • 자료구조
  • BFS
  • SWIFT
  • ios rendering
  • C 언어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스닥

Playground

9. 라우터(Router)와 라우팅(Routing)
네트워크, 서버/Network

9. 라우터(Router)와 라우팅(Routing)

2020. 8. 11. 16:16

라우터란?

 

라우터는 둘 혹은 그 이상의 네트워크나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 경로를 설정해주며,
데이터를 해당 경로를 따라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넷 접속 장비이다.

 

 

 

라우터는 전화국의 교환기와 비슷한 개념이다. Host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때, Data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로 가장 적절한 통신 경로를 이용해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rivate IP를 이용하는 내부 망에서 Data의 교환이 이루어지면, 기종, OS, 프로토콜 등 서로의 정보를 확실히 알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외부의 인터넷과 통신할 때 인데,

이 때 알 수 없는 임의의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장비가 라우터이다.

 

라우팅은 그 패킷을 보낼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DNS와 DHCP 프로토콜 (Application Layer)  (0) 2020.08.10
7.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 UDP 란?  (0) 2020.08.10
6. OSI 7계층 모형과 TCP/IP  (0) 2020.08.10
5. Public(공인) IP vs Private(사설) IP  (0) 2020.08.10
4. 서브넷에서의 브로드캐스트/호스트 주소  (0) 2020.08.10
3. 서브넷 마스크와 서브넷팅 계산  (0) 2020.08.10
2. IP 주소의 구조는?  (0) 2020.08.09
1. IP 주소란?  (0) 2020.08.09
    스닥
    스닥
    https://github.com/feldblume5263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