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우리는 IP주소와 IP주소를 Subnetting하는 법을 배웠다.
이는 부족한 IPv4의 주소 때문에 효율적으로 IP주소를 관리하기 위해서이다.
부족한 IP주소를 관리하는 또 다른 방식인 공인IP와 사설IP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Public IP (공인 IP)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주소로서, 우리가 보통 이야기하는 IP이다.
서로 다른 PC끼리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IP로서,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IP이며
한국에서는 보통 KT나 SK broadband, U+를 통해 유료로 사용을 하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후술할 사설IP대역을 제외한 모든 대역에서 가능하다.
Private IP (사설 IP)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각 컴퓨터간 통신을 위한 IP로서
공유기를 통한 망 구성과 인트라넷을 통한 통신 등에 쓰인다.
이러한 Private IP는 특정 대역으로 고정되어 있다.
A Class | 10.0.0.0 ~ 10.255.255.255 |
B Class | 172.16.0.0 ~ 172.31.255.255 |
C Class | 192.168.0.0 ~ 192.168.255.255 |
혹시 노트북이나 컴퓨터가 인터넷 모뎀이나 wifi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지금 새탭을 열고 웹 브라우저 창에 192.168.0.1을 적어보자.
보통 우리가 쓰는 네트워크는 C Class로서 보통 IP 주소의 첫번째가 Network주소이기 때문에 모뎀이나 공유기 설정 창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Public IP와 Private IP의 관계
다음 그림을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실제 Internet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공인IP가 필요하다.
공유기와 같은 라우터에 연결하면 내부 망이 생성되어 내부부 기기들 간의 통신을 할 수 있고, 라우터를 통해 외부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Private IP (사설 IP) | Public IP (공인 IP) |
Lan 또는 내부 망에서 사용 | 인터넷에서 사용 |
인터넷에서 인식 X | 인터넷에서 인식됨 |
개인이 제공 |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공 |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IP |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IP |
무료 | 유료 |
비공식 IP | 공식 IP |
참고
Private vs Public IP
. IP Addresse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namely Private IP and Public IP. . Public IP is valid address which can be used to a...
sindhusps.blogspot.com
'네트워크, 서버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라우터(Router)와 라우팅(Routing) (0) | 2020.08.11 |
---|---|
8. DNS와 DHCP 프로토콜 (Application Layer) (0) | 2020.08.10 |
7.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 UDP 란? (0) | 2020.08.10 |
6. OSI 7계층 모형과 TCP/IP (0) | 2020.08.10 |
4. 서브넷에서의 브로드캐스트/호스트 주소 (0) | 2020.08.10 |
3. 서브넷 마스크와 서브넷팅 계산 (0) | 2020.08.10 |
2. IP 주소의 구조는? (0) | 2020.08.09 |
1. IP 주소란?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