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의 시작이다! 이번 장에서는 IP주소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부터 시작하겠다.
장을 거듭해 나갈 수록 기본 개념을 알지 못하면 헛갈리는 게 많아질 것이므로 '정독'과 더불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아래의 참고자료를 확인하거나 댓글에 질문을 해서 알아나갔으면 좋겠다.
IP 주소란?
"IP 주소(영어: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표준어: 인터넷규약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만약 서버가 들어가지 않으면 IP가 안전하지 않다고 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라우터이든 일반 서버이든, 모든 기계는 이 특수한 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를 대신하여 메시지가 전송되고 수신자를 향하여 예정된 목적지로 전달된다. IP 주소를 줄여서 IP라고 부르기도 하나 ip는 인터넷 규약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구별해야 한다.
IP 주소는 5036이나 5047, 인터넷에서만 사용되는 전화번호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이런 번호는 사람이 외우기 어렵기 때문에,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을 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DNS가 이런 역할을 하며 이런 서비스를 "도메인 이름 분석" (domain name resolution) 혹은 "이름 분석" (name resolution)이라고 한다.
오늘날 주로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는 IP 버전 4(IPv4) 주소이나 이 주소가 부족해짐에 따라 길이를 늘린 IP 버전 6(IPv6) 주소가 점점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위키백과(IP주소)>
위 문단을 정독하고 더 나아가보자. 모르는 단어가 있어도 궁금증만 남겨두면 된다. 뒤에서 다 설명을 하겠다.
인터넷 상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등등 모든 Host(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서버 등등을 총칭한다.)가 IP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통신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상에 접속하는 모든 컴퓨터들은 IP주소를 가지고 있다.
내가 현재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IP주소를 확인해보자! IP주소 확인하기
ip 주소 확인 : 네이버 통합검색
'ip 주소 확인'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고정IP와 유동IP를 연관하여 심화해보자
IP주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각각의 Host을 구별하기 위해서다. 후술할 IPv4기술로 우리에게 부여할 수 있는 IP수는 한정되어 있기에, 모든 개인의 Host가 고유의 IP주소를 가지지는 못한다.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개인용 기기들은 임시적으로 부여되고 전원이 off되면 회수되는 유동 IP를 가진다.
우리가 방금 링크를 통해 확인한 본인의 IP주소도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전원을 껐다가 켜면 회수되었다 켰을 때 새롭게 부여된다. DHCP 서버의 대여시간이 지난 후라면 IP가 바뀔 수도 있다.
고정IP는 컴퓨터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P로 한번 부여되면 IP를 반납하기 전까지는 다른 장비에 부여할 수 없는 IP주소를 말한다.
우리가 naver에 접속을 하듯이, 자신의 컴퓨터의 주소를 항상 숙지하고 있으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곳에서든 자신의 컴퓨터에 접속에 작업을 할 수 있기도 하다.
하지만 해킹의 목표가 되기도 쉽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이란?
도메인 (naver.com 등등)도 Naver라는 컴퓨터의 IP주소이다! 다만, IP가 어려운 숫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메인을 이용하여 각 IP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각각의 IP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해보자
naver.com -> 125.209.222.141
apple.com -> 17.172.224.47
42.fr. -> 163.172.250.13
다른 도메인의 IP주소를 알고싶으면 터미널에 다음을 입력해보면 된다.
nslookup [도메인 주소]
IPv4, IPv6은 무엇일까?
기존에는 IPv4버전을 사용하였지만, 32비트라는 제한된 IP공간이 거의 소진되고 있어서, IPv6(128비트)를 사용 중이다.
(IP를 설계한 사람들은 인터넷이 이렇게까지 많이 사용될 것이라는 걸 예상하지 못했나보다.)
IPv4가 가질 수 있는 IP의 개수는 2의 32제곱으로 42억 9496만 7296개이다! IPv6은 2의 128제곱으로 약 340간 2823구...로 충분히 많다.
IPv4 예시 ) (C class)221.23.222.222
IPv6 예시 ) 2001:0db8:85a3:08d3:1319:8a2e:0370:7334
참고 자료
IP 주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P 주소(영어: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표준어: 인터넷규약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
ko.wikipedia.org
IP 주소
[ IP 주소란 무엇인가 ] 현재(2015년 기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혹은 모바일 기기 등)에 할당된 IP 주소는 거의 대부분 IPv4(IPversion4) 형태다. 이 IPv4의 주소 체계는 3자리 숫자가 4마디로 표기된다
terms.naver.com
'네트워크, 서버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라우터(Router)와 라우팅(Routing) (0) | 2020.08.11 |
---|---|
8. DNS와 DHCP 프로토콜 (Application Layer) (0) | 2020.08.10 |
7.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 UDP 란? (0) | 2020.08.10 |
6. OSI 7계층 모형과 TCP/IP (0) | 2020.08.10 |
5. Public(공인) IP vs Private(사설) IP (0) | 2020.08.10 |
4. 서브넷에서의 브로드캐스트/호스트 주소 (0) | 2020.08.10 |
3. 서브넷 마스크와 서브넷팅 계산 (0) | 2020.08.10 |
2. IP 주소의 구조는?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