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ip

5. Public(공인) IP vs Private(사설) IP
지금까지 우리는 IP주소와 IP주소를 Subnetting하는 법을 배웠다. 이는 부족한 IPv4의 주소 때문에 효율적으로 IP주소를 관리하기 위해서이다. 부족한 IP주소를 관리하는 또 다른 방식인 공인IP와 사설IP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Public IP (공인 IP)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주소로서, 우리가 보통 이야기하는 IP이다. 서로 다른 PC끼리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IP로서,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IP이며 한국에서는 보통 KT나 SK broadband, U+를 통해 유료로 사용을 하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후술할 사설IP대역을 제외한 모든 대역에서 가능하다. Private IP (사설 IP)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각 컴퓨터간 통신을 위한 IP로서 공유기를..